최근 어린이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게임 플랫폼 '로블록스'에서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폄훼하는 게임이 발견되어 큰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이 게임은 고등학생 6명이 주축이 되어 만들어진 것으로 밝혀졌으며, 역사 왜곡과 폄훼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꼽히고 있습니다.
게임 개발자는 언론 인터뷰를 통해 "학생이다 보니 돈이 궁했다"며, 게임 개발로 월 35만~40만 원의 수익을 올렸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게임이 자극적일수록 회원 수가 늘어나고 수익도 증가했다"고 밝히며, 역사 왜곡과 폄훼를 통해 이익을 추구했음을 인정했습니다.
'그날의 광주'라는 이름의 이 게임은 시민들끼리 싸우게 하고, 북한군까지 등장시키는 등 5·18 광주민주화운동의 역사를 심각하게 왜곡하고 있습니다. 개발자는 "광주시 대토벌 작전이라고 민간인들을 다 죽이는 이벤트도 있었다"며, 이런 이벤트 시 접속자 수가 두 배로 증가했다고 말했습니다. 이 게임은 회원 수 1만 5,000명을 넘어서며 큰 인기를 끌었지만, 그 내용은 매우 부적절하고 역사 왜곡의 심각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5·18 역사를 왜곡하는 또 다른 게임을 적발하는 등 긴급 점검에 나섰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방송통신위원회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대책을 마련하고, 플랫폼 사업자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한편, 로블록스 측은 "글로벌 번역 능력을 갖춘 AI 안전팀을 확대하여 부적절한 게임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밝히며, 재발 방지를 위해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했습니다.
이번 사태를 첫 제보한 주인공은 초등학생 이호진 군입니다. 호진 군은 게임을 하다가 역사 왜곡 요소를 발견하고, 즉시 부모님께 알려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이후 광주시청과 5·18 기념재단 등에서는 호진 군의 용기 있는 행동을 치하하며 표창장을 수여했습니다. 호진 군은 "유가족들에게 상처를 주는 가짜뉴스 게임이 더는 나오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소감을 전하며, 우리 사회에 역사 왜곡과 폄훼의 심각성을 일깨워 주었습니다.
로블록스에서 발견된 5·18 광주민주화운동 폄훼 게임 사건은 역사 왜곡과 폄훼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게임 플랫폼과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 그리고 시민들의 관심과 제보가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우리 모두가 올바른 역사 인식을 가지고, 역사 왜곡과 폄훼에 대해 경각심을 가져야 할 때입니다.